SAMBA를 사용한 윈도우즈 공유

삼바(SAMBA)는 마이크로소프트와 인텔에서 개발한 SMB(Server Message Block) 프로토콜을 이용한 윈도우와 리눅스 등 다른 시스템간 자원을 공유할 수 있는 프로그램 입니다.
간단히 윈도우(R) 컴퓨터(들)과 시스템 자원(프린터, USB, ...)을 공유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리눅스 데스크톱을 사용해 윈도우 컴퓨터(들)과 협업을 위해 파일(들)을 공유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 합니다.

!! 현재 보시는 문서는 페도라 41 라이브 시스템부터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

samba 파일 공유는 이전 버젼에서도 사용 가능 하십니다. 하지만 지금 문서의 내용은 페도라 41 라이브에서 부터 구성되어진 부분이 많습니다. 하여 이전 버젼에서는 정상 동작 하지 않거나 구성 자체가 없을 수 있습니다.
이전 버젼을 사용하시는 경우 정상 동작하지 않으니 업그레이드 해 주세요.


검색링크   , ,

SAMBA에 대해서
SAMBA 공유기 설정


리눅스를 사용하여 윈도우 파일 공유를 사용하는 목적

먼저 왜 그냥 윈도우를 사용하지 않고 굳이 리눅스를 사용하여 윈도우 파일 공유 서버를 만들어야 하는지 설명 드리겠습니다.

첫째는, 윈도우 공유가 너무 불안정 해서 입니다.
윈도우의 경우 한 공유에 다수의 컴퓨터가 몰리면 연결이 끊어져 버립니다. 그리고 또한 사용자가 암호를 변경 한다거나 윈도우즈가 업데이트 되면 공유폴더에 접속하지 못하는 경우가 너무 흔하게 나타납니다.

둘째는, 각 윈도우 버젼별(xp, 7, 10, ...) 공유가 되지 않거나 접속할 수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직 특수 목적으로 하위 버젼의 윈도우를 사용하는 경우도 많지만 그 컴퓨터(들)은 상위 버젼에서 공유하는 폴더에 접속하지 못합니다.

세째는, 안정성과 효율 때문 입니다.
사실 이 부분이 제일 중요한데, 위에 열거한 문제 해결을 위해 NAS를 사용한다던가 윈도우 서버 버젼을 사용한다 하는 곳도 있습니다.
하지만 낮은 CPU를 사용하는 arm칩의 한계 때문에 NAS 등과 비교 불가 이며, 너무 비싼 비용과 사용자 구현이 어려운 윈도우 서버 또한 비교가 되지 않습니다.
리눅스에서 사용 가능한 여러개의 하드(HDD, SSD,..)를 묶어 안정성을 높이는 소프트웨어 레이드도 있습니다. 하지만 여기서는 언급하지 않습니다.


실제 리눅스에 삼바 서버를 구축하는게 일반 사용자에게는 그리 쉽지만을 않습니다.
하여 저희가 구상한 라이브 시스템에 적용이 가능한 간단한(?) 설정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고자 합니다.

실제, 그냥 다음의 1,2 설정을 그대로 하면 컴퓨터가 켜지면서 항상 내문서(/mnt/docs)의 'SHARE' 폴더가 윈도우즈에서 엑세스 할 수 있는 공유 서버가 실행 됩니다.


1. 삼바 설정 파일 준비 하기

내문서(/mnt/docs)
  LIVE 
   ....
  smb.conf  ← samba 설정 파일
   ....

설정 파일을 개인별 설정 폴더에 저장(마우스 오른쪽 -> 링크를 다른 이름으로 저장) 하시고, /mnt/docs/LIVE/smb.conf에 다음과 같은 부분을 찾아 확인 하시고 원하는 부분을 수정하세요.

[share]
	comment = share
	path = /mnt/docs/SHARE
	browseable = yes
	guest ok = yes
	writeable = yes

	create mask = 0744
	directory mask = 0755

	force user = liveuser
	force group = users

위의 굵게 표시된 path 설정 부분을 확인 하세요. 내문서(/mnt/docs)에 폴더 'SHARE'폴더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대/소문자 꼭 구분하세요.
그냥 놔두셔도 되고, 원하시는 위치로 수성하셔도 됩니다. 폴더는 미리 만들어져 있어야 합니다.


2. 삼바 자동 시작

컴퓨터가 켜지면 바로 삼바 공유 서비스가 실행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추가합니다.

내문서(/mnt/docs)
  LIVE 
   ....
  .autostart  ← 개인별 설정 프로그램 : 선택, liveuser 권한

개인별 설정 프로그램 /mnt/docs/LIVE/.autostart에 다음과 같은 부분을 찾아 다음 부분을 추가하세요.
#!/bin/bash

#=======================================================================
#  개인용 : liveuser 권한으로 실행 
#=======================================================================
DOCS_PATH=/mnt/docs/LIVE
USER_HOME=/home/liveuser


#-----------------------------------------------------------------------
# 방화벽 해제
#-----------------------------------------------------------------------
sudo systemctl stop firewalld.service

#-----------------------------------------------------------------------
# 공유 : samba
#-----------------------------------------------------------------------
SMBUSER=liveuser
SMBPASS=1
if [ -f $DOCS_PATH/smb.conf ]; then
    sudo cp -a $DOCS_PATH/smb.conf /etc/samba/
    # 사용자 추가 + 암호 설정
    echo -e "$SMBPASS\n$SMBPASS" | sudo smbpasswd -a -s $SMBUSER
    # echo -e "liveuser = ${SMBUSER}" >> /etc/samba/smbusers
    #
    sudo systemctl start smb.service
    sudo systemctl start nmb.service
fi

밑줄친 라인의 암호는 꼭 수정해 주어야 합니다!!
암호는 현재 '1'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공유 사용자(들)만 알 수 있는 암호를 지정해 주세요.
삼바의 경우 별도의 암호화나 보안키가 없습니다. 꼭 신뢰할 수 있는 네트워크에서 사용해 주셔야 합니다.



3. 공유 폴더에 접속하기

공유된 컴퓨터(들)는 파일에서 왼쪽에 보시면 네트워크 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현재 네트워크에서 사용 가능' 에 보시면 'smb://'로 시작하는 항목(들)이 보입니다. 거기에서 원하는 장치 이름을 선택하여 들어가면 'SHARE' 항목을 보실 수 있습니다.

'SHARE'에 들어가면 인증창이 나오는데 '등록한 사용자(S)'를 선택하시고 '암호(P)'를 넣어주세요.

인증창을 정상적으로 마치고 나면 왼편 '내문서' 밑에 'share, 위치 fedora.local'이 보입니다.
여기를 선택하시면 공유된 파일(들)과 폴더(들)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관련링크   장치 이름 바꾸기,   파일 서버 : sshfs,   라이브도구 : SSH,   라이브도구 : SSHFS





  LIVE 시스템
 ❇️ 사용법
 ⁉️ 알아두면 좋아요
 고정 IP 사용하기
 배경화면 바꾸기
 온라인 계정
 원격 데스크톱
 장치 이름 바꾸기
 파일 공유
 파일 서버 : samba
 파일 서버 : sshfs
 ‼️ 원격지원
   
  가상머신
 사용법
 새 머신 만들기
 원격 접속하기
  데이타맨
 관리자
  서버 관리자
 서버
 사용자
 그룹
 폴더권한
 미리보기
  라이브도구
 웹서버
 SAMBA
 SSH
 SSHFS
  서식관리자
 사용법
  아두이노 IDE
  에볼루션
  연결
  오락실
  이미지 편집기
  인터넷
  트랜스미션
  파일질라
  프리캐드
 캐드툴
  팀뷰어
  blender
  Cura
  discord
  gsconnect
  remmina
  RPCS3
  Shotcut
  vscode
  아이폰 미러링
  안드로이드폰 미러링
  기타


시스템복구

  윈도우 XP, 7 지원 (MBR)
 사용법
  윈도우10 지원 (EFI)
  사용법


홈으로 | 제품정보 | 고객지원
All contents © copyright 2006 C2NET,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