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치 이름 바꾸기

장치 이름, 컴퓨터 이름은 기본적으로 페도라에서 'localhost-live'로 명명 됩니다. 이걸 저희가 구분하기 위해 맥어드레스를 사용하여 'live-xxxxxxxx' 형태의 이름으로 변경 하였습니다.

요즘 리눅스에서 개별 파일 공유나, 데스크탑 공유가 사용되어 지다 보니 사용자가 선호하는 장치 이름의 명명이 필요해 졌습니다. 부팅 후, 설정 -> 공유 -> 장치 이름(D) 에서 설정 가능합니다.
하지만 라이브 시스템의 특성상 컴퓨터를 꺼 버리면 모든 설정은 초기화 되어 집니다. 이 방법은 부팅 할때마다 해 줘야하기 때문에 자주 이 기능을 사용하는 분들에게는 불편 합니다.

장치 이름을 항상 고정하여 사용하고 싶으신 분들은 다음과 같이 시작 프로그램에서 설정해 주시면 됩니다.
내문서(/mnt/docs)
  LIVE 
   ....
  .startup  ← 개인별 설정 프로그램 : 선택, root 권한
   ....

개인별 설정 프로그램 /mnt/docs/LIVE/.startup에 다음과 같은 부분을 찾아 밑줄 부분을 수정하세요.
#!/bin/bash

#=======================================================================
#  개인용 : root 권한으로 실행
#=======================================================================
DOCS_PATH=/mnt/docs/LIVE
USER_HOME=/home/liveuser


#-----------------------------------------------------------------------
# 컴퓨터 이름 설정 : 기본값 "live-$MACADDRESS"
#-----------------------------------------------------------------------
# hostnamectl set-hostname "live-mycom"

밑줄친 라인의 처음 '# '를 지우시고 "live-mycom" 부분을 자신이 원하는 이름으로 바꾸시면 됩니다.





  LIVE 시스템
 ❇️ 사용법
 ⁉️ 알아두면 좋아요
 고정 IP 사용하기
 배경화면 바꾸기
 온라인 계정
 원격 데스크톱
 장치 이름 바꾸기
 파일 공유
 파일 서버 : samba
 파일 서버 : sshfs
 ‼️ 원격지원
   
  가상머신
 사용법
 새 머신 만들기
 원격 접속하기
  데이타맨
 관리자
  서버 관리자
 서버
 사용자
 그룹
 폴더권한
 미리보기
  라이브도구
 웹서버
 SAMBA
 SSH
 SSHFS
  서식관리자
 사용법
  아두이노 IDE
  에볼루션
  연결
  오락실
  이미지 편집기
  인터넷
  트랜스미션
  파일질라
  프리캐드
 캐드툴
  팀뷰어
  blender
  Cura
  discord
  gsconnect
  remmina
  RPCS3
  Shotcut
  vscode
  아이폰 미러링
  안드로이드폰 미러링
  기타


시스템복구

  윈도우 XP, 7 지원 (MBR)
 사용법
  윈도우10 지원 (EFI)
  사용법


홈으로 | 제품정보 | 고객지원
All contents © copyright 2006 C2NET, Inc. All rights reserved